고려시대에는 거란, 여진, 몽고족들의 침입이 있었지만 고려시대 경제는 삼국시대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경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고려시대 경제 특징
농업 중심 경제: 고려시대는 주로 농업을 중심으로 한 경제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논과 밭을 이용한 농업 생산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쌀, 보리, 팥 등의 작물이 주요 농작물로 재배되었습니다. 농업 생산은 인구의 삶을 유지하는 주된 수단으로 여겨졌습니다.
장소경제의 형성: 고려시대에는 장소경제라고 불리는 지역적인 경제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났습니다. 각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이나 수산물, 공산품 등이 시장에서 거래되었습니다. 지방의 상인들이 이를 중개하고 유통시켜 경제 활성화를 이끌었습니다. 화폐를 이용하면서 거래 규모와 거래 거리는 점차 늘어갔습니다.
외국무역의 활성화: 고려시대에는 외국과의 무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습니다. 특히 중국과의 무역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이를 위해 수많은 상인들이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 다양한 상품을 수입하고 내보냈습니다. 외국무역은 고려시대 경제의 성장과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도시화와 상업의 발전: 고려시대에는 도시화와 상업의 발전이 이루어졌습니다. 경주와 개경은 상업과 교역의 중심지로 발전하였습니다. 수많은 상인들과 장사인들이 이곳에서 활동하였습니다. 도시에서는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가 제공되었고 도시의 발전은 경제의 성장을 이끌었습니다. 분열됐던 나라가 통일 되면서 점차 도시화가 발전했습니다.
금전경제의 확대: 고려시대에는 금전경제가 확대되었습니다. 돈이 주로 사용되었고 돈에 대한 수요와 화폐의 순환은 경제 활동을 촉진시켰습니다. 또 상업 활동과 외국무역에서도 금전이 사용되어 경제 활성화를 도왔습니다.
고려시대 경제 무역부문
고려시대에는 국내외 무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습니다. 특히 중국과의 무역이 주를 이루었졌고 일본,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등과의 교류도 이루어졌습니다. 또 고려는 무역을 통해서 서양에 알려지는 시기가 바로 이때 부터였습니다. 아라비아 상인과의 거래를 통해서 고려라는 이름이 알려졌습니다.
중국 무역
중국 무역은 고려시대 경제의 중심이었습니다. 고려는 중국과 교류를 통해 다양한 상품을 수입하고 내보냈습니다. 주요한 무역품은 금속제품, 섬유제품, 도자기, 목재 등이었습니다. 이를 위해 상인들이 중국과의 교역을 수행하였습니다.
일본 무역
고려와 일본은 교류를 통해 무역을 이루었습니다. 주요한 무역품은 쌀, 생선, 건어물, 직물 등이었습니다. 일본의 왜구들이 고려와의 교역을 담당하였습니다.
기타 무역
동남아시아와 무역: 고려는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무역도 활발하게 이루어졌습니다. 주로 건어물, 직물, 약품 등이 수출되었습니다. 동남아시아 고려상인들이 이를 수행하였습니다.
중앙아시아와 무역: 고려는 중앙아시아와의 무역도 활발하게 이루어졌습니다. 주로 금속제품, 목재, 가죽 등이 수출되었습니다. 중앙아시아의 상인들과의 교류를 통해 이루어졌습니다.
해외거점의 형성: 고려시대에는 중국과의 무역을 중심으로 해외거점이 형성되었습니다. 중국 상해와 무역이 활발하였습니다. 상해에는 고려인 상인들이 거주하고 교역을 수행하는 고려인 거점이 형성되었습니다.
이처럼 고려시대에는 다양한 국가와의 무역이 이루어져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였습니다. 중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과의 교류를 통해 다양한 상품이 교환되었습니다. 상인들의 활약을 통해 경제적인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무역은 고려시대의 국내외 교류와 문화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